본문 바로가기
개발이야기/웹_백엔드

2-2) SQL이란?

by 효우너 2020. 7. 22.
728x90
반응형

* 이 글은 부스트코스 웹 백엔드 강의 수강 바탕으로 작성되었습니다.

1. 데이터를 저장하는 공간 테이블(Table)

  • 마이크로소프트의 엑셀(Excel)을 실행하면 표가 나옵니다. 이러한 표에 각종 값을 저장할 수 있습니다.
  • 데이터베이스도 엑셀의 표와 유사한 테이블을 가질 수 있습니다.
  • 엑셀과 다른 점은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해도 테이블은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 테이블을 사용하려면 테이블을 생성하는 SQL을 사용해야 합니다.
  • 그리고, 테이블에 값을 저장하려면 저장하기 위한 SQL을 사용해야 합니다.

 

2. 테이블(table)의 구성요소

3. 테이블(table)의 구성요소

  • 테이블 : RDBMS의 기본적 저장구조 한 개 이상의 column과 0개 이상의 row로 구성합니다.
  • 열(Column) : 테이블 상에서의 단일 종류의 데이터를 나타냄. 특정 데이터 타입 및 크기를 가지고 있습니다.
  • 행(Row) : Column들의 값의 조합. 레코드라고 불림. 기본키(PK)에 의해 구분. 기본키는 중복을 허용하지 않으며 없어서는 안 됩니다.
  • Field : Row와 Column의 교차점으로 Field는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고 없을 때는 NULL 값을 가지고 있습니다.

                    

4. 현재 데이터베이스에 존재하는 테이블 목록 확인하기

Database를 선택 후, Database의 전체 테이블 목록을 출력합니다.

mysql> show tables; 
Empty set (0.02 sec)

“empty set” 은  데이터베이스에 어떤 테이블도 아직 생성되지 않았다는 것을 알려줍니다.

 

5. SQL 연습을 위한 테이블 생성과 값의 저장

examples.sql을 다운로드 합니다. 링크 바로가기

터미널에서 examples.sql이 있는 폴더로 이동한 후, 다음과 같이 명령을 수행합니다.

명령을 수행한 후 암호를 입력합니다.

mysql -uconnectuser -p connectdb < examples.sql

examples.sql에는 연습을 위한 테이블 생성문과 해당 테이블에 값을 저장하는 입력문이 존재합니다.

mysql –uconnectuser -p connectdb

위의 명령으로 connectdb에 접속한 후 다음과 같이 명령을 수행합니다.

mysql> show tables

위의 명령은 접속한 db의 테이블 목록을 보는 명령입니다.

6. 테이블 구조를 확인하기 위한 DESCRIBE 명령

table 구조를 확인하기 위해,  DESCRIBE 명령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짧게 DESC라고 사용해도 됩니다.

EMPLOYEE테이블의 구조를 확인해 봅시다.

mysql> desc EMPLOYEE;

 

 

728x90
반응형

'개발이야기 > 웹_백엔드' 카테고리의 다른 글

3-3) DML(select, insert, update, delete)  (0) 2020.07.23
3-2) DML(select, insert, update, delete)  (0) 2020.07.23
3-1) DML(select, insert, update, delete)  (0) 2020.07.22
2-1) SQL이란?  (0) 2020.07.22
1) intro  (0) 2020.07.22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