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est4 22) request scope * 이 글은 부스트코스 웹 백엔드 강의 수강 바탕으로 작성되었습니다. Request Scope http 요청을 WAS가 받아서 웹 브라우저에게 응답할 때까지 변수값을 유지하고자 할 경우 사용한다. HttpServletRequest 객체를 사용한다. JSP에서는 request 내장 변수를 사용한다. 서블릿에서는 HttpServletRequest 객체를 사용한다. 값을 저장할 때는 request 객체의 setAttribute()메소드를 사용한다. 값을 읽어 들일 때는 request 객체의 getAttribute()메소드를 사용한다. forward 시 값을 유지하고자 사용한다. 앞에서 forward에 대하여 배울 때 forward 하기 전에 request 객체의 setAttribute() 메소드로 값을 설정한.. 2020. 8. 12. 20) scope란? * 이 글은 부스트코스 웹 백엔드 강의 수강 바탕으로 작성되었습니다. 1. Scope 란? 출처 http://inheritingjava.blogspot.kr/2011/04/chapter-42-scope-of-javabeans-in-jsp.html 2. 4가지 Scope Application : 웹 어플리케이션이 시작되고 종료될 때까지 변수가 유지되는 경우 사용 Session : 웹 브라우저 별로 변수가 관리되는 경우 사용 Request : http요청을 WAS가 받아서 웹 브라우저에게 응답할 때까지 변수가 유지되는 경우 사용 Page : 페이지 내에서 지역변수처럼 사용 2020. 8. 3. 19) JSP 내장객체 * 이 글은 부스트코스 웹 백엔드 강의 수강 바탕으로 작성되었습니다. 1. JSP 내장 객체란? JSP를 실행하면 서블릿 소스가 생성되고 실행된다. JSP에 입력한 대부분의 코드는 생성되는 서블릿 소스의 _jspService() 메소드 안에 삽입되는 코드로 생성된다. _jspService()에 삽입된 코드의 윗부분에 미리 선언된 객체들이 있는데, 해당 객체들은 jsp에서도 사용 가능하다. response, request, application, session, out과 같은 변수를 내장객체라고 한다. 2. 내장 객체의 종류 실습코드 ImplicitObjects.jsp http://www.w3.org/TR/html4/loose.dtd"> ImplicitObjects_jsp.java public void _.. 2020. 8. 3. 15) Request, Response 객체 이해하기 * 이 글은 부스트코스 웹 백엔드 강의 수강 바탕으로 작성되었습니다. Request, Response 요청과 응답 WAS는 웹 브라우저로부터 Servlet요청을 받으면, 요청할 때 가지고 있는 정보를 HttpServletRequest객체를 생성하여 저장합니다. 웹 브라우저에게 응답을 보낼 때 사용하기 위하여 HttpServletResponse객체를 생성합니다. 생성된 HttpServletRequest, HttpServletResponse 객체를 서블릿에게 전달합니다. HttpServletRequest http프로토콜의 request정보를 서블릿에게 전달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합니다. 헤더정보, 파라미터, 쿠키, URI, URL 등의 정보를 읽어 들이는 메소드를 가지고 있습니다. Body의 Stream을 .. 2020. 7. 29.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