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백엔드27

16) JSP란? * 이 글은 부스트코스 웹 백엔드 강의 수강 바탕으로 작성되었습니다. 실습코드 http://www.w3.org/TR/html4/loose.dtd"> 2020. 7. 30.
15) Request, Response 객체 이해하기 * 이 글은 부스트코스 웹 백엔드 강의 수강 바탕으로 작성되었습니다. Request, Response 요청과 응답 WAS는 웹 브라우저로부터 Servlet요청을 받으면, 요청할 때 가지고 있는 정보를 HttpServletRequest객체를 생성하여 저장합니다. 웹 브라우저에게 응답을 보낼 때 사용하기 위하여 HttpServletResponse객체를 생성합니다. 생성된 HttpServletRequest, HttpServletResponse 객체를 서블릿에게 전달합니다. HttpServletRequest http프로토콜의 request정보를 서블릿에게 전달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합니다. 헤더정보, 파라미터, 쿠키, URI, URL 등의 정보를 읽어 들이는 메소드를 가지고 있습니다. Body의 Stream을 .. 2020. 7. 29.
14) Servlet 라이프 싸이클 * 이 글은 부스트코스 웹 백엔드 강의 수강 바탕으로 작성되었습니다. 1. LifecycleServlet HttpServlet의 3가지 메소드를 오버라이딩 init() service(request, response) destroy() 실습코드 LifecycleServlet.java package examples; import java.io.IOException; import java.io.PrintWriter; import javax.servlet.ServletConfig; import javax.servlet.ServletException; import javax.servlet.annotation.WebServlet; import javax.servlet.http.HttpServlet; import j.. 2020. 7. 26.
13) Servlet 이란? * 이 글은 부스트코스 웹 백엔드 강의 수강 바탕으로 작성되었습니다. 1. 자바 웹 어플리케이션(Java Web Application) WAS에 설치(deploy)되어 동작하는 어플리케이션입니다. 자바 웹 어플리케이션에는 HTML, CSS, 이미지, 자바로 작성된 클래스(Servlet도 포함됨, package, 인터페이스 등), 각종 설정 파일 등이 포함됩니다. 2. 자바 웹 어플리케이션의 폴더 구조 3. 서블릿이란? 자바 웹 어플리케이션의 구성요소 중 동적인 처리를 하는 프로그램의 역할입니다. 서블릿을 정의해보면 서블릿(servlet)은 WAS에 동작하는 JAVA 클래스입니다. 서블릿은 HttpServlet 클래스를 상속받아야 합니다. 서블릿과 JSP로부터 최상의 결과를 얻으려면, 웹 페이지를 개발할 .. 2020. 7. 24.
12) WAS * 이 글은 부스트코스 웹 백엔드 강의 수강 바탕으로 작성되었습니다. 1. 클라이언트/서버 구조 클라이언트(Client)는 서비스(Service)를 제공하는 서버(Server)에게 정보를 요청하여 응답 받은 결과를 사용합니다. 2. DBMS (DataBase Management System) 다수의 사용자가 데이터베이스 내의 데이터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해주는 소프트웨어입니다. 3. 미들웨어 (MiddleWare) 클라이언트 쪽에 비즈니스 로직이 많을 경우, 클라이언트 관리(배포 등)로 인해 비용이 많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습니다. 비즈니스 로직을 클라이언트와 DBMS사이의 미들웨어 서버에서 동작하도록 함으로써 클라이언트는 입력과 출력만 담당하도록 합니다. 4. WAS (Web Application Serv.. 2020. 7. 24.
11) 웹서버 * 이 글은 부스트코스 웹 백엔드 강의 수강 바탕으로 작성되었습니다. -개인적으로 Nginx를 사용해보는 프로젝트도 진행해보고싶다 ㅠ_ㅠ 1. 웹 서버란? 웹 서버는 소프트웨어(Software)를 보통 말하지만, 웹 서버 소프트웨어가 동작하는 컴퓨터를 말합니다. 웹 서버의 가장 중요한 기능은 클라이언트(Client)가 요청하는 HTML 문서나 각종 리소스(Resource)를 전달하는 것입니다. 웹 브라우저나 웹 크롤러가 요청하는 리소스는 컴퓨터에 저장된 정적(static)인 데이터이거나 동적인 결과가 될 수 있습니다. 2. 웹 서버 소프트웨어의 종류 가장 많이 사용하는 웹 서버는 Apache, Nginx, Microsoft IIS Apache웹 서버는 Apache Software Foundation에서 .. 2020. 7. 24.
10) browser의 동작 * 이 글은 부스트코스 웹 백엔드 강의 수강 바탕으로 작성되었습니다. 브라우저는 월드와이드웹(WWW)에서 정보를 검색, 표현하고 탐색하기 위한 소프트웨어입니다. 인터넷에서 특정 정보로 이동할 수 있는 주소 입력창이 있고 서버와 HTTP로 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는 네트워크 모듈도 포함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서버에서 받은 문서(HTML, CSS, Javascript)를 해석하고 실행하여 화면에 표현하기 위한 해석기(Parser)들을 가지고 있습니다. 브라우저마다 서로 다른 엔진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아래 그림이 대표적인 내용입니다. 사파리 브라우저에서 처리되는 webkit렌더링엔진의 처리과정 출처 https://www.html5rocks.com/en/tutorials/internals/howbrowsers.. 2020. 7. 24.
9) 웹 Front-End 와 웹 Back-End * 이 글은 부스트코스 웹 백엔드 강의 수강 바탕으로 작성되었습니다. 1. 웹프론트엔드? 사용자에게 웹을 통해 다양한 콘텐츠(문서, 동영상, 사진 등)를 제공합니다. 또한, 사용자의 요청(요구사항)에 반응해서 동작합니다. 2. 웹프론트엔드의 역할 웹콘텐츠를 잘 보여주기 위해 구조를 만들어야 합니다.(신문,책등과 같이) - HTML 적절한 배치와 일관된 디자인 등을 제공해야 합니다.(보기 좋게) - CSS 사용자 요청을 잘 반영해야 합니다.(소통하듯이) - Javascript 3. HTML 코드 예시 원하는 문서의 구조를 프로그래밍 언어로 표현해야 합니다. HTML이라는 것은 그 구조를 잘 표현해 줍니다. 우리집에 오신걸 환영합니다 위치 경기도 시흥시 어딘가 위치하고 있어요~ 특징 우리집은 마루가 아주 작.. 2020. 7. 24.
8) 웹의 동작 (HTTP 프로토콜 이해) * 이 글은 부스트코스 웹 백엔드 강의 수강 바탕으로 작성되었습니다. -이번 앱잼을 하면서 가장 많이 사용한 순서는 GET > POST > PUT = DELETE 순인 것 같다..! -https 는 WWW(월드와이드 웹) 통신 프로토콜인 HTTP의 보안이 강화된 버전이다. 1. HTTP (Hypertext Transfer Protocol)란? 팀 버너스리(Tim Berners-Lee)와 그가 속한 팀은 CERN에서 HTML뿐만 아니라 웹 브라우저 및 웹 브라우저 관련 기술과 HTTP를 발명하였습니다. 문서화된 최초의 HTTP버전은 HTTP v0.9(1991년)입니다. HTTP는 서버와 클라이언트가 인터넷상에서 데이터를 주고받기 위한 프로토콜(protocol)입니다. HTTP는 계속 발전하여 HTTP/2까.. 2020. 7. 24.